게시판

국가 R&D 통합공고

2025년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기초연구사업 1차 신규과제 공모 (중견연구)

  • 기간: 2024.11.25~2024.12.13 (마감)
  • 작성자: 관리자
  • 작성일: 2024-11-08
  • 조회수: 235

2025년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기초연구사업 1차 신규과제 공모를 다음과 같이 안내드리오니, 자세한 사항은 링크와 첨부를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사업목적

○ 창의적ㆍ도전적 기초연구 강화와 우수 연구자 양성을 통해 과학기술 미래역량 확충에 기여

2. 지원계획

○ 개인연구

사 업

사업목적 및 특성

지원대상

연구기간

연간 연구비

글로벌 리더연구

미래의 독자적 과학기술과 신기술 개발을 위해 세계적 수준에 도달한 연구자의 심화연구 집중 지원

(글로벌 협력을 지향)

대학 이공분야 교원(전임‧비전임) 및 국(공)립‧정부출연‧민간연구소의 연구원

9년

(3+3+3)

8억원 내외

(직접비 6.4억원 이내)

중견

연구

유형2

(글로벌형)

글로벌 리더연구자로의 성장·도약 및 혁신적 성과 창출을 위해 우수한 연구자의 창의적 연구를 체계적으로 지원 (글로벌 협력을 지향)

1~3년

4년(3+1)

5년(3+2)

4억원 내외

(직접비 3.2억원 이내)

유형1*

창의성 높은 개인연구를 지원하여 우수한 기초연구 능력을 배양하고 리더연구자로의 성장 발판 마련

2.5억원 내외

(직접비 2억원 이내)

창의연구형

다양한 분야 우수한 연구자의 필요 최소 규모를 충족하는 소규모 연구 지원

1~3년

0.7억원 내외

(직접비 0.56억원 이내)

도약형

유형2

우수한 성과를 보인 연구자에게 연구성과의 고도화와 혁신적인 성과 창출을 위한 지속적인 지원

기초연구 ‘24년 종료 및 ’25년 종료예정 연구자(중견유형1·2, 우수신진)

※ ‘24년 중견 및 신진 후속신규사업 신청자는 신청 불가

3년

4억원 내외

(직접비 3.2억원 이내)

유형1

2.5억원 내외

(직접비 2억원 이내)

한우물파기

기초연구

우수한 젊은 연구자가 장기간 한 분야에서 도전적인 연구를 꾸준히 수행하여 세계적인 연구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지원

박사학위 취득 후 15년 이내인, 대학 이공분야 교원(전임‧비전임) 및 국(공)립‧정부출연‧민간연구소의 연구원

10년

(5+5)

2억원 내외

(직접비 1.6억원 이내)

신진

연구

우수신진연구*

신진연구자의 창의적 연구 의욕 고취 및 연구역량 극대화를 통해 우수 연구인력으로 양성

박사학위 취득 후 7년 이내 또는 만 39세 이하인, 국내대학 이공분야 전임교원 및 국(공)립‧정부출연‧ 민간연구소의 정규직 연구원

※ 최초 조교수 이상의 직위로 임용된 지 5년 이내인 국내대학 소속 전임교원은 박사학위 취득 후 7년 이내 또는 만 39세 이하가 아니더라도 신청 가능

1~3년

4년(3+1)

5년(3+2)

2.5억원 내외

(직접비 2억원 이내)

우수신진연구

(씨앗연구)

신진연구자의 연구 기반 확충 및 수월성 배양을 위한 창의적 연구 지원

1년

1억원 내외

(직접비 0.8억원 이내)

세종

과학
펠로

우십

국내트랙

박사후연구원 등 젊은 과학자가 원하는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핵심과학기술 인재로 성장‧정착할 수 있도록 펠로우십을 통한 연구 몰입 장려

박사학위 취득 후 7년 이내 또는 만 39세 이하인,

대학 이공분야 전임교원이 아닌 연구자 또는
국(공)립‧정부출연‧민간연구소의

비정규직 연구원

※ 외국 국적 소지자는 신청 불가

5년

(3+2)

1.3억원 내외

(직접비 1억원 내외)

국외연수

트랙

우수한 박사후연구자가 국가전략기술 분야* 핵심인재로 성장하여 국가경쟁력 확보의 원천이 될 수 있도록 국외연수 지원

* ① 반도체·디스플레이, ② 이차전지, ③ 첨단 모빌리티, ④ 차세대 원자력, ⑤ 첨단 바이오, ⑥ 우주항공·해양, ⑦ 수소, ⑧ 사이버보안, ⑨ 인공지능, ⑩ 차세대 통신, ⑪ 첨단로봇·제조, ⑫ 양자

국내대학 박사학위 취득자 중
박사학위 취득 후 7년 이내 또는 만 39세 이하인,

1년

0.7억원

(인건비 정액 지원, 간접비 5% 별도)

신진연구자

인프라 지원

신진연구자의 핵심 인프라 등 연구실 조기 구축을 통해 연구 초기부터 도전적 연구에 전념할 수 있도록 지원

박사학위 취득 후 7년 이내 또는 만 39세 이하인, 국내대학 이공분야 전임교원

※ 최초 조교수 이상의 직위로 임용된 지 5년 이내인 국내대학 소속 전임교원은 박사학위 취득 후 7년 이내 또는 만 39세 이하가 아니더라도 신청 가능

※ ‘24년도 기수혜자 및 외국 국적 소지자 신청 불가

1년

1~5억원

글로벌 매칭형

가치를 공유하는 기초연구 선진국과의 공동예산지원(bilateral)을 통한 국제공동연구과제 지원

협력국(기관)에 따라 별도 적용

최대 3년

2억원 내외

개척연구

기존의 연구 수행이 많이 이루어진 영역보다는 새로운 패러다임 전환, 새로운 개념 발견 및 정립 등 개척형 연구 수행을 지원

대학 이공분야 교원(전임·비전임) 및 국(공)립‧정부출연연구소의 연구원

1~3년

1억원 내외

(직접비 0.8억원 이내)

국가아젠다

기초연구

12대 국가전략기술 및 미래 유망 분야 등 국가·사회적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적 기초연구 지원

1~3년

2억원 내외

(직접비 1.6억원 이내)

* 글로벌 협력 시, 최대 5천만원 추가 지원(중견 유형1 및 우수신진연구 글로벌 협력과제는 전체 선정과제 수의 약 20% 내외로 선정 예정)

※ 개인연구 2차(중견연구(창의연구형), 신진연구(우수신진연구(씨앗연구)), 개척연구, 국가아젠다 기초연구) 및 글로벌 매칭형은 별도 공고 예정

 

○ 집단연구

사 업

사업목적 및 특성

지원대상

연간

연구비

연구기간

글로벌

선도

연구
센터

이학분야

(SRC)

우수한 이학 분야의 연구그룹 육성을

통해 새로운 이론 형성, 과학적 난제

해결 등 국가 기초연구 역량 강화

이공계 분야 대학원이
설치되어 있는 대학의
연구자 8인 이상 연구그룹

16.5억원

이내

7년

(4+3)

공학분야

(ERC)

우수한 공학 분야의 연구그룹 육성을

통해 원천·응용연구 연계가 가능한

기초연구 성과 창출 및 대학 내

산학협력의 거점 역할 수행

20억원

이내

7년 이내

(자율설정)

기초의과학

분야

(MRC)

의·치의·한의·약학 분야의 연구그룹

육성을 통해 사람의 생명현상과

질병 기전 규명 등 국가 바이오·

건강분야 연구 역량 강화

기초의과학(의·치의·한의·약학)분야 대학원이 설치·운영되고 있는 대학의 연구자 8인 이상 연구그룹

15억원

이내

7년

(4+3)

지역혁신

분야(RLRC)

지역혁신분야 연구 그룹 육성을 통해

지역의 지속가능한 자생적 혁신성장

기반 마련 및 지역 연구역량 강화

이공계 분야 대학원이
설치되어 있는 지역대학의
연구자 8인 이내 연구그룹

15억원

이내

7년

(4+3)

혁신

연구센터

(IRC)

우수한 전략기술 분야 연구그룹 육성을

통해 지속가능한 연구역량을 축적하고,

대학 내 산학연 협력의 거점 역할 수행

및 세계 수준의 연구성과 창출

이공계 분야 대학원이

설치되어 있는 대학의

연구자 13명 내외

연구그룹

50억원

이내

10년

(3+4+3)

국가연구소

(NRL2.0)

대학의 우수 연구 인력, 장비 등 인프라를

활용해 미래 핵심기술 분야의 혁신적

연구 및 전문인력 양성으로 국가 성장 견인

대학 내 부설연구소

100억원

이내

(교육부

예산 포함)

10년

(단계 미정)

글로벌

기초

연구실

심화형

기존 연구를 심화하는 다양한 형태의 연구를 지원해 소규모 연구집단을 체계적으로 육성

이공계 대학의
전임교원이 포함된 3~4인의 연구그룹

5억원

이내

3년

개척형

국내에서 거의 시도되지 않은 새로운 분야의 창의적‧도전적 연구 지원을 통해 역량 있는 젊은 연구자의 성장 지원

 

2. 추진 일정

일 정

추진내용

2024. 11월

·2025년도 신규과제 공고

·개인연구 1차(글로벌 리더연구, 중견연구(유형2(글로벌형), 유형1, 도약형), 한우물파기 

기초연구, 우수신진연구, 세종과학펠로우십(국내트랙‧국외연수트랙)) 신규과제 접수개시

·신진연구자 인프라 지원 신규과제 접수개시

2024. 12월

·글로벌 매칭형(영국) 사업 공고

2025. 1월

·집단연구 1차(글로벌 선도연구센터, 글로벌 기초연구실) 신규과제 접수개시

2025. 2월

·국가연구소(NRL2.0) 사업 공고

·글로벌 매칭형(독일) 사업 공고

2025. 3월

·개인연구 1차(중견연구(유형2(글로벌형), 유형1, 도약형), 한우물파기 기초연구, 우수신진연구, 

세종과학펠로우십(국내트랙)) 신규과제 연구개시

·신진연구자 인프라 지원 신규과제 연구개시

2025. 4월

·국가연구소(NRL2.0) 신규과제 접수개시

·2025년도 개인연구 2차 신규과제 공고

2025. 5월

·개인연구 2차(중견연구(창의연구형), 신진연구(우수신진연구(씨앗연구)), 개척연구, 

국가아젠다 기초연구) 신규과제 접수개시

2025. 6월

·개인연구 1차(글로벌 리더) 신규과제 연구개시

·집단연구 1차(글로벌 선도연구센터, 글로벌 기초연구실) 신규과제 연구개시

2025. 9월

·개인연구 1차(세종과학펠로우십(국외연수트랙)) 신규과제 연구개시

·개인연구 2차(중견연구(창의연구형), 신진연구(우수신진연구(씨앗연구)), 개척연구, 

국가아젠다 기초연구) 연구개시

·국가연구소(NRL2.0) 신규과제 연구개시

2025. 10월

·글로벌 매칭형(영국) 신규과제 연구개시

2025. 12월

·글로벌 매칭형(독일) 신규과제 연구개시